본문 바로가기
잡다한 생각

[사건] 대한민국 근현대 쿠데타 사례

by 피코리 2025. 3. 19.
반응형

세상이 난리입니다. 과거 쿠데타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확인해 봤습니다.

1948년: 여수·순천 사건 (10·19 반란)

1961년: 5·16 군사정변

1972년: 10월 유신 (헌정 쿠데타)

  • 연도: 1972년
  • 주모자: 박정희 대통령 (현직 국가원수에 의한 친위 쿠데타)
  • 쿠데타 종류: 정치적 정변 (자기 쿠데타를 통한 헌정 질서 파괴)
  • 성공/실패 여부: 성공 (헌법을 개정하여 장기집권 체제 확립) (10월유신(十月維新) -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)
  • 이후의 영향: 박정희 정권은 “10·17 비상조치”를 통해 국회를 해산하고 정치 활동을 중지시키는 등 헌법 일부 효력을 정지시킨 뒤, 비상국무회의 주도로 유신헌법을 제정하고 국민투표로 통과시켰다 (10월유신(十月維新) -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). 그 결과 박정희가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재선되어 **유신체제(제4공화국)**가 수립되었고, 1979년까지 사실상의 종신집권 체제가 지속되었다 (10월유신(十月維新) -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).
  • 주요 인물들의 이후 행보: 박정희는 유신체제 아래 절대권력을 누렸으나,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게 암살당하면서 유신 체제도 막을 내렸다 (10·26 사건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). 유신체제 하에서 권력을 잡았던 인사들 중 일부는 1979년 이후 등장한 신군부에 협력하였으나, 많은 인물들은 박정희 사후 정치권에서 몰락하거나 은둔하였다.

1979년: 12·12 군사반란

1980년: 5·17 쿠데타 (비상계엄 전국확대)

  • 연도: 1980년
  • 주모자: 전두환 보안사령관, 노태우 소장 등 신군부 세력
  • 쿠데타 종류: 군사 쿠데타 (계엄령을 이용한 정권 찬탈)
  • 성공/실패 여부: 성공 (최규하 대통령 사임 및 신군부 집권) (한국의 반란 목록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)
  • 이후의 영향: 1980년 5월 17일 자정, 신군부는 “시국 수습”을 명분으로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정당 및 정치활동을 금지시켰으며, 국회를 강제로 해산했다 (5·17 쿠데타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). 또한 학생·정치인 등 2,600여 명을 영장 없이 구금하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사실상 헌정을 중단시켰다 (5·17 쿠데타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). 이러한 5·17 쿠데타에 대한 항거로 발생한 5·18 광주 민주화운동을 신군부는 군대를投入해 유혈 진압하였고, 그 후 최규하 대통령이 하야함에 따라 신군부 주도의 제5공화국이 출범하여 전두환이 대통령에 취임했다 (한국의 반란 목록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).
  • 주요 인물들의 이후 행보: 전두환은 대통령 직에서 물러난 1988년 이후 백담사 칩거 등 은둔 생활을 했으나, 민주정부 출범 후 12·125·18 관련 혐의로 노태우와 함께 기소되어 1심에서 사형을 선고받는 등 유죄 판결을 받았다 (<역사속 오늘> 전직 대통령에게 사형이 선고된 날 | 연합뉴스)(이후 항소심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, 1997년 특별사면). 노태우 역시 함께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사면되었고, 두 사람은 모두 2021년에 별세하였다. 신군부 핵심 인사들도 상당수가 군 및 정계 요직을 거쳤으나, 민주화 이후에는 군사 쿠데타 세력으로서 역사적 심판을 받고 영향력을 상실했다.
반응형